KNUKNU국어교육과

KANGWON NATIONAL UNIVERSITY

모바일메뉴 열기 모바일 메뉴 닫기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0/전학기 균형 1210005
통일시대의한국어와한국문학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Unification Era)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10005
  • 교과목명 : 통일시대의한국어와한국문학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Unification Er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남한과 북한의 언어와 문학에 대한 비교를 통해 남북한 언어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남북한의 언어 이론과 문학 이론, 언어 규범, 듣기·말하기·읽기·쓰기에 대한 관점, 문학 정전 등에 대한 비교, 북한 이탈주민의 언어 적응 문제에 대한 이해 등을 다룰 것이다. 이를 통해 탈분단을 위해 필요한 인문학적 안목을 형성하고 통일 시대가 요구하는 지성과 감수성을 갖출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similarities and differe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comparis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in two countries. We will discuss about linguistic & literary theories, the perspectives on language arts, literary cannons in the two Koreas. We also deal with the language-adaptation issue of refugee from North Korea. Learne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hallenging issues related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two Koreas and hopefully develop right attitudes towards the unification of the two stat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남한과 북한의 언어와 문학에 대한 비교를 통해 남북한 언어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남북한의 언어 이론과 문학 이론, 언어 규범, 듣기·말하기·읽기·쓰기에 대한 관점, 문학 정전 등에 대한 비교, 북한 이탈주민의 언어 적응 문제에 대한 이해 등을 다룰 것이다. 이를 통해 탈분단을 위해 필요한 인문학적 안목을 형성하고 통일 시대가 요구하는 지성과 감수성을 갖출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similarities and differe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comparis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in two countries. We will discuss about linguistic & literary theories, the perspectives on language arts, literary cannons in the two Koreas. We also deal with the language-adaptation issue of refugee from North Korea. Learne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hallenging issues related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two Koreas and hopefully develop right attitudes towards the unification of the two states.

닫기
1/1학기 전선 4271066
국문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66
  • 교과목명 : 국문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국문학의 개념, 장르와 특징들에 관한 기초지식을 익히고 실제 한국문학 작품의 전체적 양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알게 하며, 중등학교 국문학 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기초적인 소양을 배운다. 이를 통해 국문학 전반에 대한 지식과 이해력을 갖추게 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basic knowledge of Korean literature, genre and characteristics, and to understand the general aspects of Korean literary works. Based on this, students will learn the direction and task of Korean literature study and learn basic skills to guide secondary schoo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is, students ga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Korean literatur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국문학의 개념, 장르와 특징들에 관한 기초지식을 익히고 실제 한국문학 작품의 전체적 양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알게 하며, 중등학교 국문학 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기초적인 소양을 배운다. 이를 통해 국문학 전반에 대한 지식과 이해력을 갖추게 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basic knowledge of Korean literature, genre and characteristics, and to understand the general aspects of Korean literary works. Based on this, students will learn the direction and task of Korean literature study and learn basic skills to guide secondary schoo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is, students ga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Korean literature.

닫기
1/1학기 전선 4271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학과 생활 계획, 학업 계획, 미래의 인생 설계 등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교사상을 모색 혹은 확립하도록 한다. 특히 개인 혹은 그룹 상담을 통해서 다양한 분야의 진로를 함께 논의하고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alking about lesson plans, study plans, future life plans, and seek or establish new teacher awards accordingly. In particular, it aims to discuss and explore careers in various fields through individual or group counseling.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학과 생활 계획, 학업 계획, 미래의 인생 설계 등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교사상을 모색 혹은 확립하도록 한다. 특히 개인 혹은 그룹 상담을 통해서 다양한 분야의 진로를 함께 논의하고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alking about lesson plans, study plans, future life plans, and seek or establish new teacher awards accordingly. In particular, it aims to discuss and explore careers in various fields through individual or group counseling.

닫기
1/2학기 전선 4271065
국어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65
  • 교과목명 : 국어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국어학 전반에 대하여 그 대체적인 윤곽과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함으로써 국어 연구의 제 분야에 관한 기초적인 사항을 정리하고 국어학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한다. 그리고 중등학교 국어과의 ‘언어’영역을 지도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한다.

    • English

      By understanding the general outline and basic contents of the Korean linguistics in general, basic matters concerning the field of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re organized and the basic training of the Korean linguistics is developed. And it lays the basic foundation for guiding the "language" domain of secondary school Korea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국어학 전반에 대하여 그 대체적인 윤곽과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함으로써 국어 연구의 제 분야에 관한 기초적인 사항을 정리하고 국어학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한다. 그리고 중등학교 국어과의 ‘언어’영역을 지도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한다.

  • English

    By understanding the general outline and basic contents of the Korean linguistics in general, basic matters concerning the field of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re organized and the basic training of the Korean linguistics is developed. And it lays the basic foundation for guiding the "language" domain of secondary school Korean.

닫기
1/2학기 전필 4271072
국어교육론 (An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71072
  • 교과목명 : 국어교육론 (An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교육 전공생들의 입문 과목으로, 학습자들은 국어교육의 본질, 국어과 교육과정/교과서 및 국어과 교육의 하위영역과 관련된 여러 이론과 실제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국어교육학이 무엇인지 그 정체성에 대해 탐색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an introductory course f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curriculum, textbooks and sub-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ritically review all of them. In this course, learners will explore w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ll about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교육 전공생들의 입문 과목으로, 학습자들은 국어교육의 본질, 국어과 교육과정/교과서 및 국어과 교육의 하위영역과 관련된 여러 이론과 실제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국어교육학이 무엇인지 그 정체성에 대해 탐색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an introductory course f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curriculum, textbooks and sub-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ritically review all of them. In this course, learners will explore w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ll about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71003
문학교육론 (Theory of Literary Educatio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03
  • 교과목명 : 문학교육론 (Theory of Literary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의 목표는 문학교육의 개념, 성격, 범주 및 의의와 실제 교수-학습, 평가, 감상 등 문학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인 문학의 교육작용과 현대의 교육이 만나는 데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 위에서, 문학교육은 인문교육에 있어서 정당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이 강좌를 통해 예비 문학 교사가 문학교육의 본질과 의의를 다시 생각하게 하고, 그 기초적 지식과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lies in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categories,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and appreciation of literary education. The basis of the course is that human understanding is possible when the educational impact of traditional literature and modern education converge. On that basis, literary education will have its due place in humanities education. Especially for pre-service literature teachers, this course aims at exploring the essential qualities and significance of literary education and cultivating their basic knowledge and competenc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의 목표는 문학교육의 개념, 성격, 범주 및 의의와 실제 교수-학습, 평가, 감상 등 문학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인 문학의 교육작용과 현대의 교육이 만나는 데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 위에서, 문학교육은 인문교육에 있어서 정당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이 강좌를 통해 예비 문학 교사가 문학교육의 본질과 의의를 다시 생각하게 하고, 그 기초적 지식과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lies in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categories,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and appreciation of literary education. The basis of the course is that human understanding is possible when the educational impact of traditional literature and modern education converge. On that basis, literary education will have its due place in humanities education. Especially for pre-service literature teachers, this course aims at exploring the essential qualities and significance of literary education and cultivating their basic knowledge and competence.

닫기
2/1학기 전선 4271005
국어음운교육론 (Korean Phonology for Teacher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05
  • 교과목명 : 국어음운교육론 (Korean Phonology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어의 음성, 음소, 운율적 요소, 운소를 바르게 이해한다. 음소 체계와 음운 변동을 안다. 국어음운학의 지식을 국어과 교육에 활용하여 한글맞춤법, 표준어, 표준발음법을 바르게 이해하고 올바른 언어생활을 하게 한다.

    • English

      Correctly understand the phonetic, phonemic, metrical elements and metaphors of the Korean language know phoneme system and phoneme variation Using the knowledge of Korean phonetics and education, we understand the Korean orthography, the standard language, and the standard pronunci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한국어의 음성, 음소, 운율적 요소, 운소를 바르게 이해한다. 음소 체계와 음운 변동을 안다. 국어음운학의 지식을 국어과 교육에 활용하여 한글맞춤법, 표준어, 표준발음법을 바르게 이해하고 올바른 언어생활을 하게 한다.

  • English

    Correctly understand the phonetic, phonemic, metrical elements and metaphors of the Korean language know phoneme system and phoneme variation Using the knowledge of Korean phonetics and education, we understand the Korean orthography, the standard language, and the standard pronuncia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71006
고전소설교육론 (Theory of Classic Novels for Teacher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06
  • 교과목명 : 고전소설교육론 (Theory of Classic Novels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고전소설의 특성과 그 변천사를 작품론, 주제론, 형식론, 구성론 등의 입장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고전소설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게 된다. 아울러 중등교육현장에서의 고전소설 교육의 내용과 구성체계를 문학 교육적 입장에서 탐구하게 된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고전소설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novels and their changes from the viewpoint of works theory, thematic theory, formalism, and constructivism. Through this, students will be able to appreciate and understand classical novels. In additio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in the secondary education field will be explored from a literary educational point of view. In this class,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take charge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고전소설의 특성과 그 변천사를 작품론, 주제론, 형식론, 구성론 등의 입장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고전소설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게 된다. 아울러 중등교육현장에서의 고전소설 교육의 내용과 구성체계를 문학 교육적 입장에서 탐구하게 된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고전소설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novels and their changes from the viewpoint of works theory, thematic theory, formalism, and constructivism. Through this, students will be able to appreciate and understand classical novels. In additio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in the secondary education field will be explored from a literary educational point of view. In this class,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take charge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71054
수필교육론 (Theory of Essay for Teacher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54
  • 교과목명 : 수필교육론 (Theory of Essay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수필의 일반적 특징과 각 작품의 특징을 원론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어떻게 교육 현장에 적용시킬 것인가를 연구하고,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서 유용성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수필의 본질에 가장 근접해 들어갈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으며, 교수-학습, 평가, 감상 등의 내용과 방법을 이론적으로 심화 학습하는 기회를 갖고자 하는 것이 본 강좌의 목적이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review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essay, apply them in the classroom, and investigate specific works. They will also explore factors that can be used to approach the substance of korean essay and theoretically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ose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and appreci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수필의 일반적 특징과 각 작품의 특징을 원론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어떻게 교육 현장에 적용시킬 것인가를 연구하고,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서 유용성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수필의 본질에 가장 근접해 들어갈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으며, 교수-학습, 평가, 감상 등의 내용과 방법을 이론적으로 심화 학습하는 기회를 갖고자 하는 것이 본 강좌의 목적이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review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essay, apply them in the classroom, and investigate specific works. They will also explore factors that can be used to approach the substance of korean essay and theoretically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ose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and apprecia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71062
강원지역문화의이해 (Introduction to Gangwon Local Cultur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62
  • 교과목명 : 강원지역문화의이해 (Introduction to Gangwon Local Cul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근대 이전 강원도 지역 문화를 다양하게 이해함으로써 강원도의 현대 문화의 근원을 탐구한다. 강원도의 형성부터 시작하여 정치,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의 문화적 지형도를 통해서 강원도 문화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하는 단서를 마련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plores the origins of Gangwon-do's contemporary culture by understanding various cultures of pre-modern Gangwon-do. It will be coming up with a clue to discuss the new direction of Gangwon-do culture through cultural topographic maps in various fields such as Beginning with the formation of Gangwon-do,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근대 이전 강원도 지역 문화를 다양하게 이해함으로써 강원도의 현대 문화의 근원을 탐구한다. 강원도의 형성부터 시작하여 정치,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의 문화적 지형도를 통해서 강원도 문화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하는 단서를 마련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plores the origins of Gangwon-do's contemporary culture by understanding various cultures of pre-modern Gangwon-do. It will be coming up with a clue to discuss the new direction of Gangwon-do culture through cultural topographic maps in various fields such as Beginning with the formation of Gangwon-do,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닫기
2/1학기 전선 4271063
문법교육론 (Theory of Education on Korean Grammar)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63
  • 교과목명 : 문법교육론 (Theory of Education on Korean Grammar)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문법 교육 전반에 대하여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지식을 기른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영역과 고등학교 국어과 심화 선택 과목인 ‘문법’의 교수-학습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Develop a basic and general knowledge of grammar education as a whole Based on this, it will develop the knowledge and ability to faithfully carry out teaching-learning in the "grammar" area of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n middle school and the "grammatical" course, a deep choice subject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high school.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문법 교육 전반에 대하여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지식을 기른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영역과 고등학교 국어과 심화 선택 과목인 ‘문법’의 교수-학습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Develop a basic and general knowledge of grammar education as a whole Based on this, it will develop the knowledge and ability to faithfully carry out teaching-learning in the "grammar" area of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n middle school and the "grammatical" course, a deep choice subject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high school.

닫기
2/1학기 전선 4271073
화법교육론 (Theories of Oracy Educatio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73
  • 교과목명 : 화법교육론 (Theories of Oracy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 교과 교육의 하위영역인 듣기-말하기(화법)과 관련된 교육이론,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다. 본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화법교육 이론과 중등 화법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화법 지도와 평가 방법을 실습함으로써 화법지도 역량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pedagogy in oral communication. This course includes educational theory,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s related to the Lisitening & Speaking area, which is one of the areas of the secondary school subject "Korea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ories of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secondary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by understanding & practicing of teaching & assessing students' oral communi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 교과 교육의 하위영역인 듣기-말하기(화법)과 관련된 교육이론,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다. 본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화법교육 이론과 중등 화법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화법 지도와 평가 방법을 실습함으로써 화법지도 역량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pedagogy in oral communication. This course includes educational theory,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s related to the Lisitening & Speaking area, which is one of the areas of the secondary school subject "Korea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ories of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secondary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by understanding & practicing of teaching & assessing students' oral communication.

닫기
2/2학기 전선 4271010
고전산문교육론 (Theory of Korean Classic Prose for Teacher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10
  • 교과목명 : 고전산문교육론 (Theory of Korean Classic Prose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 고전문학 중 산문문학의 특성 및 사적 발달과정을 고찰한다. 시대별 주요 작품에 대한 세부적인 해설과 평가 등을 통해 작품이 지닌 문학사적 의의를 이해하고, 고전산문의 교육적 가치를 배우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전산문의 풍부한 작품 세계를 이해하고 현대에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classical prose literature. Through detailed commentary and evaluation on major works by period,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works and learn the educational value of classical prose. Through this, students can understand the rich world of classical prose and apply it to present tim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한국 고전문학 중 산문문학의 특성 및 사적 발달과정을 고찰한다. 시대별 주요 작품에 대한 세부적인 해설과 평가 등을 통해 작품이 지닌 문학사적 의의를 이해하고, 고전산문의 교육적 가치를 배우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전산문의 풍부한 작품 세계를 이해하고 현대에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classical prose literature. Through detailed commentary and evaluation on major works by period,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works and learn the educational value of classical prose. Through this, students can understand the rich world of classical prose and apply it to present times.

닫기
2/2학기 전선 4271014
국어문법론 (Korean Grammar)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14
  • 교과목명 : 국어문법론 (Korean Grammar)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국어 문법 지식 없이는 어떠한 국어활동도 불가능하고, 문법의 핵심은 형태론과 통사론이므로 국어의 품사 체계, 굴곡법, 단어형성의 원리, 그리고 문장성분, 문법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 문장의 짜임새 등 국어의 형태 구조와 통사 구조 전반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깊이 있게 이해한다. 그리고 중등학교 국어과의 ‘언어’ 영역과 ‘문법’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English

      No Korean activities are possible without knowledge of Korean grammar, and since the core of grammar is morphology and syntax, the system of Korean noun system, flexion method, the principle of word formation, and the syntactic function and meaning of sentence components, the construction of sentences, etc. is understood systematically and deeply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the syntax and syntax. It also provides knowledge and ability to systematically guide the "language" area and "grammatical"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secondary school.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국어 문법 지식 없이는 어떠한 국어활동도 불가능하고, 문법의 핵심은 형태론과 통사론이므로 국어의 품사 체계, 굴곡법, 단어형성의 원리, 그리고 문장성분, 문법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 문장의 짜임새 등 국어의 형태 구조와 통사 구조 전반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깊이 있게 이해한다. 그리고 중등학교 국어과의 ‘언어’ 영역과 ‘문법’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English

    No Korean activities are possible without knowledge of Korean grammar, and since the core of grammar is morphology and syntax, the system of Korean noun system, flexion method, the principle of word formation, and the syntactic function and meaning of sentence components, the construction of sentences, etc. is understood systematically and deeply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the syntax and syntax. It also provides knowledge and ability to systematically guide the "language" area and "grammatical"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secondary school.

닫기
2/2학기 전선 4271018
국어어휘교육론 (Korean Lexicology for Teacher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18
  • 교과목명 : 국어어휘교육론 (Korean Lexicology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어휘론의 기본적 개념, 어휘 연구의 대상과 영역, 연구 방법 등 어휘론 전반에 관한 사항을 다룬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중등학교 국어과의 어휘 영역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 English

      It deals with the basic concepts of lexicon theory, objects and areas of vocabulary study, research methods, and other matters related to lexical theory as a whole. And based on this, they are encourag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guide the vocabulary area of secondary school Korean languag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어휘론의 기본적 개념, 어휘 연구의 대상과 영역, 연구 방법 등 어휘론 전반에 관한 사항을 다룬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중등학교 국어과의 어휘 영역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 English

    It deals with the basic concepts of lexicon theory, objects and areas of vocabulary study, research methods, and other matters related to lexical theory as a whole. And based on this, they are encourag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guide the vocabulary area of secondary school Korean language.

닫기
2/2학기 전선 4271067
현대시강독 (Readings in Modern Poetry Work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67
  • 교과목명 : 현대시강독 (Readings in Modern Poetry Work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중·고등교육이 다루는 현대 한국 시인들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김소월에서 21세기 시인에 이르는 주요 시인들의 작품을 강독함으로써 현대시에 대한 이해력을 제고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시인들의 시적 개성과 현대시의 다양한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works of contemporary Korean poets dealing with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This course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poetry by reading the works of major poets from Kim So-wol to 21st century poets. This course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poetic personality of poets and the various worlds of modern poet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중·고등교육이 다루는 현대 한국 시인들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김소월에서 21세기 시인에 이르는 주요 시인들의 작품을 강독함으로써 현대시에 대한 이해력을 제고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시인들의 시적 개성과 현대시의 다양한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works of contemporary Korean poets dealing with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This course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poetry by reading the works of major poets from Kim So-wol to 21st century poets. This course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poetic personality of poets and the various worlds of modern poetry.

닫기
2/2학기 전필 4271070
한국현대문학사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71070
  • 교과목명 : 한국현대문학사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 현대문학사의 주요 지식 습득에 목적을 둔다. 개화기 이후 한국 현대 문학의 역사적 배경, 시기별 문학의 전반적 특징, 장르별 주요 작품을 개관함으로써 한국 현대 문학의 흐름을 학습한다.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영역과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문학’ 영역의 교수-학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acquiring major knowledg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After the flowering period,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flow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by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riod literature, and major works by genre. Increase the teaching-learning skills in the 'literature' section of the middle school Korean curriculum and the 'literature' section of the high school language departm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한국 현대문학사의 주요 지식 습득에 목적을 둔다. 개화기 이후 한국 현대 문학의 역사적 배경, 시기별 문학의 전반적 특징, 장르별 주요 작품을 개관함으로써 한국 현대 문학의 흐름을 학습한다.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영역과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문학’ 영역의 교수-학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at acquiring major knowledg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After the flowering period,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flow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by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riod literature, and major works by genre. Increase the teaching-learning skills in the 'literature' section of the middle school Korean curriculum and the 'literature' section of the high school language department.

닫기
2/2학기 전선 4271075
의사소통교육론 (Theories of Communication Education)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75
  • 교과목명 : 의사소통교육론 (Theories of Communication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의사소통과 관련된 교육이론,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다. 본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교육 이론과 중등 의사소통 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의사소통 지도와 평가 방법을 실습함으로써 의사소통 지도 역량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mmunication education. This course includes educational theory,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s related to communicatio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ories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secondary communication education,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by understanding & practicing of teaching & assessing students' communi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의사소통과 관련된 교육이론,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다. 본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교육 이론과 중등 의사소통 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의사소통 지도와 평가 방법을 실습함으로써 의사소통 지도 역량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mmunication education. This course includes educational theory,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s related to communicatio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ories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secondary communication education,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by understanding & practicing of teaching & assessing students' communication.

닫기
2/2학기 전선 4271076
작문교육론 (Theories of Writing Education)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76
  • 교과목명 : 작문교육론 (Theories of Writing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 교과 교육의 하위영역인 쓰기(작문)와 관련된 교육이론,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다. 본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작문교육 이론과 중등 작문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문 교과서 선정, 작문지도 및 평가 방법을 이해하고 실습함으로써 작문지도 역량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education. This course includes educational theory,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s related to the area of Writing, which is one of the areas in secondary school subject "Korea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theories of writing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secondary writing education,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by understanding & practicing of writing textbook selection, teaching & evaluating writ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 교과 교육의 하위영역인 쓰기(작문)와 관련된 교육이론,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다. 본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작문교육 이론과 중등 작문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문 교과서 선정, 작문지도 및 평가 방법을 이해하고 실습함으로써 작문지도 역량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education. This course includes educational theory,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s related to the area of Writing, which is one of the areas in secondary school subject "Korea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theories of writing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secondary writing education,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by understanding & practicing of writing textbook selection, teaching & evaluating writing.

닫기
3/1학기 전선 4271015
고전시가교육론 (Theory of Classic Poetry for Teacher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15
  • 교과목명 : 고전시가교육론 (Theory of Classic Poetry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문학사상의 고시가가 형성된 역사 사상적 기반과 그 장르적 원리를 탐구하고, 고시가 작품을 두루 읽고 분석함으로써 한국고시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 국어교육에서 고시가 교육의 의의와 원리, 내용, 구성과 체계, 실제에 대하여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This course presupposes a foundation in classical poetry. Its goal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poetry and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Koreans that are expressed in it. Various classical forms including gayo, hyangga, Goryeo gayo, sijo, and gasa will be studied. Also examined are the research as well as practice educational method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The class will also emphasize the studying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ecific works and gen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문학사상의 고시가가 형성된 역사 사상적 기반과 그 장르적 원리를 탐구하고, 고시가 작품을 두루 읽고 분석함으로써 한국고시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 국어교육에서 고시가 교육의 의의와 원리, 내용, 구성과 체계, 실제에 대하여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This course presupposes a foundation in classical poetry. Its goal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poetry and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Koreans that are expressed in it. Various classical forms including gayo, hyangga, Goryeo gayo, sijo, and gasa will be studied. Also examined are the research as well as practice educational method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The class will also emphasize the studying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ecific works and genres.

닫기
3/1학기 전선 4271016
현대시교육론 (Theory of Modern Poetry for Teacher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16
  • 교과목명 : 현대시교육론 (Theory of Modern Poetry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시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시의 장르적 특성과 현대시의 다양한 형식을 고려한 시교육의 본질적인 문제를 학습한다. 현행 교과서의 현대시 단원에 대한 이해도 포함된다. 이 교과목을 통해 중등학교 ‘국어’ 및 ‘문학’ 과목의 현대시 단원 수업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dern poetry education. This course studies the essential problems of poetry education consider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the various forms of contemporary poetry. An understanding of modern poetry units in current textbooks is also included. This curriculum allows students to smoothly conduct modern poetry units in the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현대시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시의 장르적 특성과 현대시의 다양한 형식을 고려한 시교육의 본질적인 문제를 학습한다. 현행 교과서의 현대시 단원에 대한 이해도 포함된다. 이 교과목을 통해 중등학교 ‘국어’ 및 ‘문학’ 과목의 현대시 단원 수업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dern poetry education. This course studies the essential problems of poetry education consider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the various forms of contemporary poetry. An understanding of modern poetry units in current textbooks is also included. This curriculum allows students to smoothly conduct modern poetry units in the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닫기
3/1학기 전선 4271017
현대소설교육론 (Theory of Modern Novels for Teacher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17
  • 교과목명 : 현대소설교육론 (Theory of Modern Novels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현대소설의 일반적 특징과 각 작품의 특징을 원론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어떻게 교육 현장에 적용시킬 것인가를 연구하고,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서 유용성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현대소설의 본질에 가장 근접해 들어갈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으며, 교수-학습, 평가, 감상 등의 내용과 방법을 이론적으로 심화 학습하는 기회를 갖고자 하는 것이 본 강좌의 목적이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review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novel, apply them in the classroom, and investigate specific works. They will also explore factors that can be used to approach the substance of korean modern novel and theoretically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ose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and appreci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현대소설의 일반적 특징과 각 작품의 특징을 원론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어떻게 교육 현장에 적용시킬 것인가를 연구하고,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서 유용성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현대소설의 본질에 가장 근접해 들어갈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으며, 교수-학습, 평가, 감상 등의 내용과 방법을 이론적으로 심화 학습하는 기회를 갖고자 하는 것이 본 강좌의 목적이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review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novel, apply them in the classroom, and investigate specific works. They will also explore factors that can be used to approach the substance of korean modern novel and theoretically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ose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and appreciation.

닫기
3/1학기 전선 4271021
국어사 (History of Korean Languag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21
  • 교과목명 : 국어사 (History of Korean Languag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국어의 역사에 대해 포괄적이고 전반적인 이해를 한다.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음운, 형태, 문법에 걸쳐 국어의 역사적인 변천을 탐구한다. 현대국어의 이해에 국어의 역사적인 연구가 바탕이 됨을 이해한다.

    • English

      Have a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Korean language, the medieval language and the modern language and explore the historical vicissitudes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out phoneme, form and grammar. understand that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language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odern languag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국어의 역사에 대해 포괄적이고 전반적인 이해를 한다.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음운, 형태, 문법에 걸쳐 국어의 역사적인 변천을 탐구한다. 현대국어의 이해에 국어의 역사적인 연구가 바탕이 됨을 이해한다.

  • English

    Have a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Korean language, the medieval language and the modern language and explore the historical vicissitudes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out phoneme, form and grammar. understand that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language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odern language

닫기
3/1학기 전선 4271028
국어문제연구 (Seminar in Korean Linguist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28
  • 교과목명 : 국어문제연구 (Seminar in Korean Linguis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변형 생성 문법에 대하여 기본적이고 개괄적인 이해를 하고, 국어 문법 연구의 전반에 걸쳐 주요 문제를 분석, 검토하여, 정리, 체계화한다. 그리고 중등학교 국어과의 ‘언어’영역과 ‘문법’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English

      Make a basic and general understanding of variation generation grammar, analyze, examine, organize and organize major problems throughout the study of Korean grammar. It also provides the ability to guide the "language" domain and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secondary school.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변형 생성 문법에 대하여 기본적이고 개괄적인 이해를 하고, 국어 문법 연구의 전반에 걸쳐 주요 문제를 분석, 검토하여, 정리, 체계화한다. 그리고 중등학교 국어과의 ‘언어’영역과 ‘문법’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English

    Make a basic and general understanding of variation generation grammar, analyze, examine, organize and organize major problems throughout the study of Korean grammar. It also provides the ability to guide the "language" domain and "grammar"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secondary school.

닫기
3/1학기 전선 4271069
매체언어교육론 (Theory of Media Language Educ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69
  • 교과목명 : 매체언어교육론 (Theory of Media Languag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매체언어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둔다. 매체언어교육의 주요 지식과 교육내용을 이해하고 실생활의 미디어 문화를 탐구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현대 사회의 매체언어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매체언어 교수학습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derstand the main knowledge and conten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nd explore media culture in real life.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dia language of modern society and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teach media languag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매체언어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둔다. 매체언어교육의 주요 지식과 교육내용을 이해하고 실생활의 미디어 문화를 탐구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현대 사회의 매체언어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매체언어 교수학습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derstand the main knowledge and conten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nd explore media culture in real life.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dia language of modern society and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teach media language.

닫기
3/1학기 전필 4271071
한국고전문학사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71071
  • 교과목명 : 한국고전문학사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고전 문학사를 통시적으로 이해하고 한국고전문학사 연구의 중요한 논점들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문학의 모태가 되는 원시문학에서 조선조 후기문학에 이르기까지의 문학사의 발전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힌다. 이를 통해 현대적 적용과 변용이 가능한 고전문학 전문가와 예비교사가 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critically understand the important issues of the study of Korean ancient professional history. Students will learn basic knowledge about the development process of literary history from primitive literature, which is the foundation of Korean literature, to late literature of Joseon Dynasty. This will allow students to become a specialist and a preservice teacher with modern applications and transforma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고전 문학사를 통시적으로 이해하고 한국고전문학사 연구의 중요한 논점들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문학의 모태가 되는 원시문학에서 조선조 후기문학에 이르기까지의 문학사의 발전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힌다. 이를 통해 현대적 적용과 변용이 가능한 고전문학 전문가와 예비교사가 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critically understand the important issues of the study of Korean ancient professional history. Students will learn basic knowledge about the development process of literary history from primitive literature, which is the foundation of Korean literature, to late literature of Joseon Dynasty. This will allow students to become a specialist and a preservice teacher with modern applications and transformations.

닫기
3/1학기 전선 4271074
독서교육론 (Theories of Reading Educ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74
  • 교과목명 : 독서교육론 (Theories of Reading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 교과 교육의 하위영역인 읽기(독서)와 관련된 읽기의 본질,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다. 본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독서교육 이론과 중등 독서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독서 지도와 평가 방법을 실습함으로써 독서지도 역량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reading education. This course includes educational theory,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s related to the Reading area, which is one of the areas of the secondary school subject "Korea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ories of reading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secondary reading education,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by understanding & practicing of teaching & assessing students' read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 교과 교육의 하위영역인 읽기(독서)와 관련된 읽기의 본질,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다. 본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독서교육 이론과 중등 독서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독서 지도와 평가 방법을 실습함으로써 독서지도 역량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reading education. This course includes educational theory, curriculum,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s related to the Reading area, which is one of the areas of the secondary school subject "Korean". Learners will understand theories of reading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secondary reading education,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by understanding & practicing of teaching & assessing students' reading

닫기
3/2학기 전선 4271023
한국문학배경론 (Backgrounds of Korean Literatur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23
  • 교과목명 : 한국문학배경론 (Backgrounds of Korean Litera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 고전문학의 기층을 이루는 사상적 측면, 특히 민간신앙, 불교, 유교, 도교 등의 범주, 역사, 주요 이론 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고전문학 작품의 심화된 연구 및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고전문학이 작품 자체보다 창작자 및 창작 시기의 사유를 깊이 있게 반영하여 창작되었음을 알고, 사상적 토대를 실제 작품 해석에 적용시켜 보는 능력도 아울러 갖추도록 한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bring up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deological aspects that underlie Korean classical thought, especially history, and major theories of folk belief,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etc. .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한국 고전문학의 기층을 이루는 사상적 측면, 특히 민간신앙, 불교, 유교, 도교 등의 범주, 역사, 주요 이론 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고전문학 작품의 심화된 연구 및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고전문학이 작품 자체보다 창작자 및 창작 시기의 사유를 깊이 있게 반영하여 창작되었음을 알고, 사상적 토대를 실제 작품 해석에 적용시켜 보는 능력도 아울러 갖추도록 한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bring up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deological aspects that underlie Korean classical thought, especially history, and major theories of folk belief,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etc. .

닫기
3/2학기 전선 4271026
현대소설강독 (Readings in Modern Novel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26
  • 교과목명 : 현대소설강독 (Readings in Modern Novel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문학사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고려하여 엄선된 소설 작품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택하여 각 작품의 문학적 특성과 시대적 의의를 살펴본다. 소설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는 관점에서 작품들을 분석하며, 소설 교육을 위한 절차와 방법론을 모색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study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vel selected by literary historic value and educational value. The analysis of works is approached in order to study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novels and futher students will reseach the procedurees and methodological theories for novel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문학사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를 고려하여 엄선된 소설 작품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택하여 각 작품의 문학적 특성과 시대적 의의를 살펴본다. 소설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는 관점에서 작품들을 분석하며, 소설 교육을 위한 절차와 방법론을 모색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study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vel selected by literary historic value and educational value. The analysis of works is approached in order to study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novels and futher students will reseach the procedurees and methodological theories for novel educ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271031
국어사교재강독 (Readings in Historical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31
  • 교과목명 : 국어사교재강독 (Readings in Historical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옛말의 표기법 및 문법적인 특징을 이해한다. 훈민정음의 체계와 특성을 강독을 통해 탐구한다. 국어교육의 교재에 나오는 옛말 자료를 강독을 통하여 탐구하고 이해하여 국어의 역사적인 지식을 넓힌다. 국어사 지식을 국어교육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Understand the phonetic and grammatical features of old words Th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Hunminjeongeum are explored through strong reading. Explore and understand the historical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strong reading. develop the ability to use knowledge of Korean history for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옛말의 표기법 및 문법적인 특징을 이해한다. 훈민정음의 체계와 특성을 강독을 통해 탐구한다. 국어교육의 교재에 나오는 옛말 자료를 강독을 통하여 탐구하고 이해하여 국어의 역사적인 지식을 넓힌다. 국어사 지식을 국어교육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Understand the phonetic and grammatical features of old words Th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Hunminjeongeum are explored through strong reading. Explore and understand the historical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strong reading. develop the ability to use knowledge of Korean history for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닫기
3/2학기 전선 4271049
고전산문강독 (Readings in Classic Prose Work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49
  • 교과목명 : 고전산문강독 (Readings in Classic Prose Work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주요 고전산문 원전 작품을 읽고 작품 해석 및 감상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원전 강독을 통해 원 작품이 지닌 고유한 의미를 내면화하고 현대적 의의, 교육적 가치 등을 탐구하게 된다. 본 수업을 통해 고전산문 작품에 대한 감상능력과 이해력이 신장된다.

    • English

      This cource aims to read major classical prose works and to improve students'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Through reading the original text, students will internalize the original meaning of original works and explore modern significance and educational values. This course will enhance students'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classical prose work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주요 고전산문 원전 작품을 읽고 작품 해석 및 감상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원전 강독을 통해 원 작품이 지닌 고유한 의미를 내면화하고 현대적 의의, 교육적 가치 등을 탐구하게 된다. 본 수업을 통해 고전산문 작품에 대한 감상능력과 이해력이 신장된다.

  • English

    This cource aims to read major classical prose works and to improve students'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Through reading the original text, students will internalize the original meaning of original works and explore modern significance and educational values. This course will enhance students'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classical prose works.

닫기
3/2학기 전선 4271050
고전시가강독 (Readings in Classic Poetry Work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50
  • 교과목명 : 고전시가강독 (Readings in Classic Poetry Work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고대가요, 향가, 고려속요, 경기체가, 악장, 시조, 가사, 잡가, 민요, 한시 등 다양한 고전시가 작품의 원문을 강독함으로써 중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원전 해독 능력을 기른다. 개론과 문학사 학습 과정에서 제목으로만 알고 있던 고전시가 작품의 원전을 직접 강독함으로써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접하는 작품을 포함하여 주요 작품을 번역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 이를 토대로 작품의 깊은 해석에 이르는 방법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foster a general understanding of classical poetic works from ancient gayo to hyangga, Goryeo gayo, sijo, and gasa, jabga, . Students will master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literary works. They will survey phraseology, meter, and methods of expression, while learning how to properly read, analyze, interpret and teach works of classical poet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고대가요, 향가, 고려속요, 경기체가, 악장, 시조, 가사, 잡가, 민요, 한시 등 다양한 고전시가 작품의 원문을 강독함으로써 중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원전 해독 능력을 기른다. 개론과 문학사 학습 과정에서 제목으로만 알고 있던 고전시가 작품의 원전을 직접 강독함으로써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접하는 작품을 포함하여 주요 작품을 번역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 이를 토대로 작품의 깊은 해석에 이르는 방법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foster a general understanding of classical poetic works from ancient gayo to hyangga, Goryeo gayo, sijo, and gasa, jabga, . Students will master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literary works. They will survey phraseology, meter, and methods of expression, while learning how to properly read, analyze, interpret and teach works of classical poetry.

닫기
3/2학기 전필 4271077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Studies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71077
  • 교과목명 :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Studies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 실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국가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국어과 교육을 이해하고, 학교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국어과 수업 역량을 기르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nable learners to understand and practice various teaching & learning methods.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language education requir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develop instructional skills required at schoo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 실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강좌를 통해 학습자들은 국가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국어과 교육을 이해하고, 학교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국어과 수업 역량을 기르게 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nable learners to understand and practice various teaching & learning methods.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language education requir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develop instructional skills required at schools.

닫기
3/2학기 전선 4271078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78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4/1학기 전선 4271007
국어정서법 (Korean Orthograph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07
  • 교과목명 : 국어정서법 (Korean Orthograph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글맞춤법의 기본 원칙과 세부 규정, 그리고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어 규정, 표준 발음법을 올바로 이해하여 정확한 문자 생활과 국어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basic principles and detailed regulations of Hangul orthography, as well as the standard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standard pronunciation methods are correctly understood so that accurate character life and Korean life can be achiev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한글맞춤법의 기본 원칙과 세부 규정, 그리고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어 규정, 표준 발음법을 올바로 이해하여 정확한 문자 생활과 국어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basic principles and detailed regulations of Hangul orthography, as well as the standard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standard pronunciation methods are correctly understood so that accurate character life and Korean life can be achieved.

닫기
4/1학기 전선 4271025
문학감상론 (Literary Criticism for Teacher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25
  • 교과목명 : 문학감상론 (Literary Criticism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문학작품 이해와 평가의 전반적인 능력 신장에 목적을 둔다. 문학 감상 방법론을 학습하고 한국 현대문학 주요 작품 감상의 실제를 이해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중등학교 문학 수업에서 작품 해석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

    • English

      The aim is to increase the overall ability of literary work to be understood and evaluated. Students will learn the appreciation of literature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of major works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is course will help improve the interpretation of works in secondary school literature class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문학작품 이해와 평가의 전반적인 능력 신장에 목적을 둔다. 문학 감상 방법론을 학습하고 한국 현대문학 주요 작품 감상의 실제를 이해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중등학교 문학 수업에서 작품 해석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

  • English

    The aim is to increase the overall ability of literary work to be understood and evaluated. Students will learn the appreciation of literature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of major works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is course will help improve the interpretation of works in secondary school literature classes.

닫기
4/1학기 전선 4271036
국어학사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36
  • 교과목명 : 국어학사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국어학자들의 우리말글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시대와 사조에 따라 정리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국어 연구의 역사적 발달 과정과 흐름을 이해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scholarly study of Korean language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ideas. And based on this, we should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d flow of Korean language research.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국어학자들의 우리말글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시대와 사조에 따라 정리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국어 연구의 역사적 발달 과정과 흐름을 이해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scholarly study of Korean language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ideas. And based on this, we should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d flow of Korean language research.

닫기
4/1학기 전선 4271042
구비문학교육론 (Theory of Korean Oral Literature for Teacher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42
  • 교과목명 : 구비문학교육론 (Theory of Korean Oral Literature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국문학으로서의 구비문학의 위상과 기능을 확인하고, 문학 교육적 입장에서 미래지향적 구비문학 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구비문학의 구연 양상 고찰과 작품 해석을 통하여 작품 속에 담긴 문예정신을 살피고, 그 담당층인 민중의 역사의식과 정서를 파악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구한 전통을 지닌 구비문학의 가치와 의미를 현대에 계승, 발전시키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dentify the status and function of oral literature as Korean literatur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tasks of future-oriented oral literatur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education. Students will examine the literary spirits of the works through the oral aspects of oral literature and interpret the works, and grasp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emotion of the people. Through this,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inherit and develop the value and meaning of oral literature with a long tradition in present tim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국문학으로서의 구비문학의 위상과 기능을 확인하고, 문학 교육적 입장에서 미래지향적 구비문학 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구비문학의 구연 양상 고찰과 작품 해석을 통하여 작품 속에 담긴 문예정신을 살피고, 그 담당층인 민중의 역사의식과 정서를 파악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구한 전통을 지닌 구비문학의 가치와 의미를 현대에 계승, 발전시키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dentify the status and function of oral literature as Korean literatur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tasks of future-oriented oral literatur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education. Students will examine the literary spirits of the works through the oral aspects of oral literature and interpret the works, and grasp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emotion of the people. Through this,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inherit and develop the value and meaning of oral literature with a long tradition in present times.

닫기
4/1학기 전선 4271064
국어과교육연습 (Practice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64
  • 교과목명 : 국어과교육연습 (Practice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국어과의 핵심 교육 내용을 정리하고 응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목적을 둔다. 고전문학교육, 현대문학교육, 고전문법교육, 현대문법교육, 화법교육, 독서교육, 작문교육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적용 학습을 도모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예비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review important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to improve students’ application ability.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modern literary education, grammar education, speech education, reading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and apply what they learn into practice. This curriculum enhances pre-service teachers' expertis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국어과의 핵심 교육 내용을 정리하고 응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목적을 둔다. 고전문학교육, 현대문학교육, 고전문법교육, 현대문법교육, 화법교육, 독서교육, 작문교육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적용 학습을 도모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예비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review important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to improve students’ application ability.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modern literary education, grammar education, speech education, reading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and apply what they learn into practice. This curriculum enhances pre-service teachers' expertise.

닫기
4/1학기 전필 4271079
국어과논술교육 (Logic Thinking and Writing in Korea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71079
  • 교과목명 : 국어과논술교육 (Logic Thinking and Writing in Korea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국어과 교육과 관련된 여러 쟁점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학습자들은 협상 및 토론 지도, 임용고시 기출문제 풀이, 수업 시연 등 다양한 학습 주제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하게 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mprehensively examine a number of issu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will understand and practice a variety of learning topics, such as teaching negotiation & debate, solving teacher-qualification exam items and planning less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국어과 교육과 관련된 여러 쟁점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학습자들은 협상 및 토론 지도, 임용고시 기출문제 풀이, 수업 시연 등 다양한 학습 주제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하게 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mprehensively examine a number of issu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will understand and practice a variety of learning topics, such as teaching negotiation & debate, solving teacher-qualification exam items and planning lessons.

닫기
4/2학기 전선 4271027
희곡교육론 (Theory of Drama for Teacher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27
  • 교과목명 : 희곡교육론 (Theory of Drama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예술의 한 장르인 희곡에 대해 학습하고 연극을 국어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학습한다. 희곡과 연극의 국어교육적 활용을 위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연결시키는 구체적인 작업을 병행한다.

    • English

      Throughout this course, all class participants will study and research the drama as a Korean language arts. Also in the course, students deal the issues of educational theatre for a alternative approa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ork for connecting drama education into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 will be du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국어예술의 한 장르인 희곡에 대해 학습하고 연극을 국어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학습한다. 희곡과 연극의 국어교육적 활용을 위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연결시키는 구체적인 작업을 병행한다.

  • English

    Throughout this course, all class participants will study and research the drama as a Korean language arts. Also in the course, students deal the issues of educational theatre for a alternative approa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ork for connecting drama education into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 will be due.

닫기
4/2학기 전선 4271037
고전문법교육론 (Grammar of Middle Age Korean for Teacher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37
  • 교과목명 : 고전문법교육론 (Grammar of Middle Age Korean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국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옛말의 문법의 음운, 형태, 문법, 어휘의 특성을 이해한다. 그것이 현대국어에 어떻게 이어지는지 탐구하고 현대국어의 이해에 고전문법 지식이 바탕이 됨을 이해한다. 국어의 고전 자료를 고전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바르게 이해한다.

    • English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modern language, w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r, form, grammar and vocabulary of old words. explore how it leads to modern language and understand that knowledge of classical grammar is based on understanding modern language. correctly understand the classical materials of the Korean language using the knowledge of classical grammar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현대국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옛말의 문법의 음운, 형태, 문법, 어휘의 특성을 이해한다. 그것이 현대국어에 어떻게 이어지는지 탐구하고 현대국어의 이해에 고전문법 지식이 바탕이 됨을 이해한다. 국어의 고전 자료를 고전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바르게 이해한다.

  • English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modern language, w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r, form, grammar and vocabulary of old words. explore how it leads to modern language and understand that knowledge of classical grammar is based on understanding modern language. correctly understand the classical materials of the Korean language using the knowledge of classical grammar

닫기
4/2학기 전선 4271051
고전작가론 (Studies on Korean Classical Writers for Teacher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51
  • 교과목명 : 고전작가론 (Studies on Korean Classical Writers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 고전문학사에서 시대별, 장르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가들의 세계관과 사상, 생애, 작가와 당대사회, 창작 및 작품향유환경, 작가 간 관계 등을 살펴봄으로써 고전 문학작품을 보다 더 깊이 있고 풍부하게 이해,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With the study of writers as a background,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Korean authors in general as well as specific authors. The main subject of the course will be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authorial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literary works while focusing on classical Korean autho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한국 고전문학사에서 시대별, 장르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가들의 세계관과 사상, 생애, 작가와 당대사회, 창작 및 작품향유환경, 작가 간 관계 등을 살펴봄으로써 고전 문학작품을 보다 더 깊이 있고 풍부하게 이해,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With the study of writers as a background,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Korean authors in general as well as specific authors. The main subject of the course will be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authorial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literary works while focusing on classical Korean authors.

닫기
4/2학기 전선 4271060
한국현대작가론 (Studies on Korean Modern Writers for Teacher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60
  • 교과목명 : 한국현대작가론 (Studies on Korean Modern Writers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작가론의 방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한국 현대 작가의 전반적 특징을 파악한 후 특정 작가의 작품세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 한국 작가를 대상으로 작가에 대한 연구사 검토와 작품 분석을 중심내용으로 하는 연구성과를 세미나 형식으로 검토함으로써 수강생들의 한국소설사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 English

      With the study of writers as a background,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n authors in general as well as specific authors. The main subject of the course will be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authorial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literary works while focusing on modern Korean authors. It will be a seminar-style course seeking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작가론의 방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한국 현대 작가의 전반적 특징을 파악한 후 특정 작가의 작품세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 한국 작가를 대상으로 작가에 대한 연구사 검토와 작품 분석을 중심내용으로 하는 연구성과를 세미나 형식으로 검토함으로써 수강생들의 한국소설사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 English

    With the study of writers as a background,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n authors in general as well as specific authors. The main subject of the course will be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authorial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literary works while focusing on modern Korean authors. It will be a seminar-style course seeking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닫기
4/2학기 전선 4271068
현대비평교육론 (Modern Literary Criticism for Teacher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1068
  • 교과목명 : 현대비평교육론 (Modern Literary Criticism for Teach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 문학 작품에 대한 분석 및 평가 능력 신장에 목적을 둔다. 문학 비평의 다양한 방법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고 실제 작품 분석에 적용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교육 현장에 필요한 문학 작품 비평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ncrease the ability to analyze and evaluate contemporary literature. Students will learn about various methods of literary criticism and apply them to the analysis of actual works. This curriculum will cultivate the critical skills of literary works for the educational fiel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현대 문학 작품에 대한 분석 및 평가 능력 신장에 목적을 둔다. 문학 비평의 다양한 방법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고 실제 작품 분석에 적용한다. 이 교과목을 통해 교육 현장에 필요한 문학 작품 비평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ncrease the ability to analyze and evaluate contemporary literature. Students will learn about various methods of literary criticism and apply them to the analysis of actual works. This curriculum will cultivate the critical skills of literary works for the educational field.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